BTemplates.com

최근 글

이 블로그 검색

Powered by Blogger.

2017년 6월 14일 수요일

Linux top 명령 도움말 보고 따라하기


TOP 명령 도움말 보기

직원중에 top명령을 잘 사용하는 직원이 있어서 배우고 나서, 나름대로 도움말을 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top 명령을 실행한 상태에서 h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top에 대한 도움말 화면이 출력되며 각 항목들을 간단한 키조작으로 수행할수 있습니다.


도움말에서 각 키의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1. top 화면에 색상을 입혀보자!!

a/w : a키 또는 w키를 눌려 current window:를 1:Def로 변경합니다. a 키 또는 w키를 누르면 toggle되면서 현재 window가 변경됩니다.



그러고 난 이후에는 Z키를 통해 색상 설정을 하면 됩니다.
Z 키 : Z키는 TOP의 각 패널들의 Color설정을하는  도움말 화면을 출력합니다. top을 실행한 상태에서 Z키를 누르고 나면 color 설정에 대한 도움말이 나타납니다.

친절하게도 실제 top 명령의 각 column에 color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이 순서대로 나타나 있습니다. 1) 2) 3) 순서대로 지시대 에 따라 수행합니다.

1 ) 첫번째로, 색상을 적용할 대상을 선택한다. 영문자로 S/M/H/T중에서 적용하고 싶은 대상을 선택합니다. 현재 적용하는 대상은 "M"이며, 이는 Message/Prompt 항목에 색상을 적용한다는 뜻입니다. S/M/H/T를 누르면 color를 적용할 대상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S/M/H/T중 한가지를 눌러 항목을 선택한 이후에 숫자키 0~9까지 눌러보면 해당 항목에 대한 색상이 변경됩니다.

2 ) 두번째로, S/M/H/T키로 타겟을 선택한 이후에는 선택된 Target에 바꿀 색상에 대한 숫자를 입력하여, 색상을 바꿉니다.
색상은 0~7번까지 총 8가지 색상을 선택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토글 모드는
B : Bold 비활성화/활성화
z : color/mono 활성화/비활성화
b : Task Information 항목에 bold/reverse(선택반전)

모든 항목에 대한 적용이 완료되었으면 <Enter>키를 눌려 적용합니다.















이로써 top 화면의 색상 적용이 끝났습니다. 다음번 top 명령을 실행할때도 해당 적용된 색상 프로파일을 불러오기 위해 대문자 W키를 눌러 저장을 합니다. 해당 파일은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toprc 파일로 저장됩니다.

2. Scroll 코디네이터

C 키 : 스크롤 코디네이터로서, C를 누른후 방향키 또는 pageUP/Down으로 top 화면에서 이동 가능합니다.






3. x키로 정렬 필드 선택후 정렬 및 Bold/반전

1 ) x키를 누르면 정렬할 필드가 선택 반전됩니다.

2 ) 선택된 필드에서 < 키 와 >키를 눌러서 선택할 필드를 정합니다.

3 ) 선택한 필드 기준으로 R 키를 누르면 정렬이 됩니다. 현재 기준으로 %CPU 필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R 키를 누르면 CPU 사용률 기준으로 프로세스를 정렬합니다.























x키 : 정렬할 필드를 선택/선택해제합니다.

y 키 : running 중인 프로세스를 Bold(진하게)/선택반전 표시할지를 결정합니다.

5. 메모리 표시 용량 바꾸기 KB/MB/GB/TB/PB

1 ) e키 : e키를 누르면 VIRT/RES/SHR 메모리 관련 필드의 용량 표시 단위가 변경됩니다.














2 ) E키 : Mem Swap 관련 필드의 메모리사용률 표시 단위가 변경됩니다.





6. CPU/Mem 관련 표시 화면 바꾸기

t키 :  t키를 누를때마다 CPU관련 표시 화면을 바꿀수 있습니다.
m키 :  m키를 누를때마다 MEM관련 표시 화면을 바꿀수 있습니다.









7. 기타 유용한 토글 기능들.

CPU IDLE 상태가 아닌 프로세스만 표시하기 또는 전체 프로세스 표시하기


COMMAND 필드에 전체 command args 모두 표시하기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